안녕하십니까,
부매경입니다.
지난번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보았고, 오늘은 분해되지 않은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기존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금지 또는 환경세를 부과하는 추세입니다.
국내에서도 매장 내 플라스틱 일회용 컵 사용 금지를 실시하였고, 마트에서는 이미 일회용 비닐백 사용은 금지된 지 오래입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정의
- 재생 가능한 원재료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 옥수수, 사탕수수, 콩 등 전분을 원료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
바이오 플라스틱 종류별 특징
바이오 플라스틱은 재생 가능한 원재료(바이오 매스)의 포함량에 따라
생분해 플라스틱과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2가지로 나눕니다.
생분해 플라스틱
- 바이오 매스 50~70% 이상
- 생분해 가능(6개월 이내 90% 분해)
- 제조 원가 고가
- 물성, 내열성 및 내한성 약함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 바잉오 매스 20~25% 이상
- 물성, 내열성 및 내한성 보완
- 생분해 가능
산화생분해성 플라스틱
플라스틱에 화학 물질인 산화 생분해제를 섞어서 만든 플라스틱
뉴스나, 광고에서 말하는 수준의 바이오 플라스틱은 아닌 것 같습니다.
100% 옥수수나 등으로 만든 플라스틱인 줄 알았는데, 어떻게 보면 그냥 플라스틱에 조금 전분을 섞은 수준이네요
바이오 플라스틱 문제점과 실상
생분해 플라스틱 중 땅에 매립하면 미생물에의 의해 100% 분해되는 플라스틱 제품은 있지만,
실상 사용되는 곳은 극히 드물고, 대부분 식물성 재료와 석유로 만든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입니다.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은 바이오 매스가 20%만 섞여도 친환경 제품으로 분류되지만,
나머지 80%는 썩지 않은 플라스틱이라 과연 친환경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은 재활용도 되지 않아 대부분은 소각한다고 합니다.
말만 친환경이지 실질적으로는 더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 같습니다.
산화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말이 촉진제를 사용하여 분해한다고 하지만
마지막에는 결국 미세 플라스틱만 남게 된다고 합니다.
결국 바이오플라스틱은 기업이나 기관 등에서 친환경 회사임을 광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곡물을 사용하여(현재 플라스틱을 대체하려면 전체 농경지 11% 사용),
더 환경오염을 시키는 플라스틱을 만드는 것은 아닌지 의문스럽습니다.
[특집] 바이오플라스틱, 기술 충분한데 대량생산 왜 못하나 (ecomedia.co.kr)
바이오 플라스틱의 미래
그래도 바이오플라스틱은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상용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재활용되지 않은 플라스틱은 대부분 소각하는데, 이러한 재활용되지 않은 플라스틱은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가 필요합니다.
물론 재활용되지 않은 바이오플라스틱은 반드시 매장시켜 분해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시장은 전체 플라스틱 시장의 약 10% 정로라고 합니다.
바이오플라스틱 적용 회사
- 삼성전자 에코폰, 베터리 커버 등 바이오 플라스틱 40% 사용
- LG하우시스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옥수수를 사용한 지아마루
-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케이스 바이오매스 3% 적용
- 한국 후지제록스 옥수수 프린터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주
- SK케이칼 : 생분해 및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생산 가능
- 롯데케미칼 : 화장품 및 식품 용기에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적용
- LG화학 : 폐식용휴 기반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
- 효성티앤씨 :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기본의 섬유 생산
- 휴비스 :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섬유 생산
특히 휴비스는 폴리에스터 섬유 소재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회사로
특히 재활용이 어려운 섬유를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분해가 가능한 섬유를 만듭니다.
[지구용]썩는 플라스틱 섬유 만드는 '휴비스' (sedaily.com)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본 글은 단순 정보전달의 목적이며, 모든 투자는 개인의 책임이니 항상 투자에 주의하십시오.
미세 플라스틱 정의, 종류, 발생원인, 위험성 정리_1년에 12만개 섭취 (tistory.com)
기업들이 왜 친환경 기업 이미지에 목숨 걸까?
ESG 뜻, ESG 경영 중요성, ETF_2020년 ESG 한국 Top 10위 (tistory.com)
'환경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비(인공강우)_정의, 원리, 효과, 문제점_두바이 173억 인공강우 연구 결실? (10) | 2021.07.24 |
---|---|
폐플라스틱 재활용_폐플라스틱 열분해_폐플라스틱을 수소로? (6) | 2021.07.20 |
미세 플라스틱 정의, 종류, 발생원인, 위험성 정리_1년에 12만개 섭취 (10) | 2021.07.05 |
태양광 에너지 발전 총 정리_정의, 발전원리, 주요 3가지 구성, 특징, 전망 (3) | 2021.06.30 |
그린 뉴딜_한국판 뉴딜 신재생에너지 사회 전환_주요과제 3가지 (6) | 2021.06.07 |